티스토리 뷰

반응형

독서와 글쓰기로  '나의 꿈, 부자 할머니'를 꿈꾸는 해뜬날입니다.

 
무기가 되는 스토리
이 책은 마케팅 전쟁터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지닌 무기, 즉 스토리의 구축 비법을 공개한 책이다. 메시지가 선명한 스토리는 듣는 이의 마음을 얻지만, 흐릿한 스토리는 막대한 손실을 가져온다. 과연 스토리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아마존 베스트셀러 종합 1위에 오른 작가인 도널드 밀러. 그는 독자를 사로잡는 스토리에는 불변의 공식이 있음을 깨닫고 이를 7단계 문장 공식으로 체계화했다. 그는 이 공식에 기초한 컨설팅 기업 〈스토리브랜드〉를 창립했고, 그
저자
도널드 밀러
출판
윌북
출판일
2018.09.30

 

 

   1. 캐릭터 : 주인공은 고객이지, 회사가 아니다.

고객을 주인공으로, 우리를 가이드로 설정한다면 고객은 우리 회사를 난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믿음직한 지원군으로 인식할 것이다. 관객의 여정을 존중하면서도 우리 또한  관객의 생존에 필요한 지혜나 제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더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고객이 원하는 게 뭔지 생각해봐야 한다. 고객이 원하는 게 뭔지 알아내지 못한다면 고객은 우리가 들려주는 스토리에 초대받은 느낌이 들지 않을 것이다. 

'주인공이 과연 원하는 것을  얻게 될까?'

 

브랜드라면 고객이 원하는 게 뭔지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정의하는 순간, 고객의 마음에 ' 이 브랜드가 정말로 내가 원하는 것을 얻게 도와줄 수 있을까?'라는 스토리 질문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고객이 실제로 원하는 것은 '고급스러우면서도 휴식이 되는 경험'이었다.

메인 페이지 텍스트는 짧고 강력한 카피로 바뀌었다.  '여러분이 찾던 고급스러운 휴식

캐릭터와 그 캐릭터가 원하는 것 사이에 간격이 만들어질 때 스토리 갭이 생긴다. 스토리 갭이 있을 때 영화 관객은 정신을 집중한다. 그 갭이 과연 메워질지, 만약 메워진다면 어떤 식으로 메워질지 궁금하기 때문이다.  스토리갭의 힘을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의 뇌가 욕망을 만드는 원리를 이해한다는 뜻이다. 

 

 

수많은 열망을 충족시켜주는 제품이나 서비스는  '너무 많은 포부를 가지고 주인공의 열망을 희석시켜 스토리를 어수선하게 만드는 것'말이다.  사람들은 언제나 자신의 생존과 번창을 도와주는 스토리를 선택한다.  고객의 열망을 먼저 정의하라. 그런 다음 스토리속으로 고객을 초대하면 고객은 분명히 끌려 들어올 것이다.

 

나의  한 문장 

 

전자책을 만들 때 가장 먼저 신경쓰는 부분이 섬내일이었다.  제목의 중요성을 신중하게 인식하지 못할 때는 대충 내 위주로 작성해왔다. 그런데 블로그 강의를 여러번 들으면서 한결같이  블로그 강사님들이 강조하는 부분이 바로 '섬내일, 즉 제목'이었다.  무엇을 고객들에게 알리고 싶은가? 이 책은 무엇을 위해, 누구를 위해 썼는가? 등 , 그리고  내 글을 읽은 사람들이 무엇을 알았으면 좋겠는가?를 중심에 두고 제목을 적어라고 했다. 또한 북테라피의 코치님과 미팅을 할 때도 나의 전자책에 대해서 대상을 명확히 하도록, 그리고 쓰는 내용을 단순화'하라고 강조했다.  모든 사람이 아니라,  모든 내용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명확한 주제'가  중요하다고 했다.  

나는 이 글을 읽으면서 다시한번 주제의 명확성과 섬내일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지금 나는 전자책을 완성했고, 섬내일을 구상하고 있다. 그런데  갈 수록 더 섬내일 작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그 만큼  마케팅의 중요성에 대해 조금씩  배우고 있다는 의미이다. 

'고객의 관점,  고객은 주인공이고  주인공이 무엇을 원하지는지?'에 초점을 두자. 단순하면서도 명확한 열망에 집중하면서  섬내일을 만들도록 해야 겠다. 쉽지 않겠지만,  몇 일 동안 이 문제에 대해서 고민하고 궁리하는 시간을 가져야 겠다.  그러면 반드시 좋은 제목이 탄생할 것이라고 믿는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