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독서와 경제 공부로 '나의 꿈, 부자 할머니'를 목표로 재테크를 공부하고 있는
머니 오백 연구소 팀장, 쨍하고 해뜬날입니다.
 

 

 
타인의 마음
쉽고 명쾌하게 전달하는 인지심리학자 김경일과 tvN 〈책 읽어드립니다〉 〈어쩌다 어른〉의 제작팀이 만든 CJ ENM 디지털 지식 플랫폼 〈사피엔스 스튜디오〉가 만나 제작한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가 책으로 출간되었다. 《타인의 마음》은 구독자 165만 명을 보유한 지식 큐레이팅 유튜브 채널 〈사피엔스 스튜디오〉의 인기 콘텐츠인 ‘타인의 심리 읽어드립니다’(조회수 누적 2천만 뷰, 2022년 10월 기준)를 바탕으로 한 책으로, 영상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저자
김경일, 사피엔스 스튜디오
출판
샘터(샘터사)
출판일
2022.11.04

 

 

김경일 작가는 심리학과 인지과학을 바탕으로 한 저술로 유명한 한국의 작가이자 교수입니다. 그의 대표작인 "타인의 마음"은 인간의 감정과 심리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감정들을 분석합니다. 김경일 작가는 독자들에게 심리적 통찰을 제공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쓰기를 통해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꼭 비교하면서 말하는 심리

 

가장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이유는 상대방을 가르치고 싶어서 그런다는 것입니다.  가르치고 싶은 욕구가 샘솟는 대상은 어떤 사람들일까요? 바로 가까운 사람입니다. 그래서 가족 간에 비교하는 말을 많이 하는 것입니다.  가까운 사람의 정의는 물리적 거리가 가까운 상사나 직원, 그리고 친척입니다.  한국은 동질적인 경향이 강해서  쉽게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이라서 유독 비교를 많이 합니다.  이렇듯 비교가 만연한 문화를 바꿀 방법은 하나뿐입니다. 사람들마다 개성과 사는 방식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고, 그 특징을 존중해 주는 시선이 필요합니다.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는 사람의 특징은 자기만의 절대 기준이 없다는 것입니다.  비교는 기본적으로 자기 기준이 없는 사람들이 하게 되어 있습니다.  성공한 운동선수들이 자주 하는 말이 있습니다.

 

어제의 나와  경쟁했다. 라이벌이나 다른 선수를 따라잡거나 이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 스스로 싸웠다는 의미입니다.

 

남과 비교하는 성향이 강한 사람은 스스로 감탄할 것들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취미를 가져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는 나의 자존감과 정체감을 지켜주는 갑옷 같은 역할을 합니다. 

 

나의 본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이 책은 두 번째 읽는 책입니다. 그때도 '입만 열면 남과 비교하는 사람이 옆에 있다면'에 강한 충격을 받고 지나간 날을 깊이 돌아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 이후로 비교하는 마음이 조금 사라진 것을 느꼈습니다. 남과 비교하기보다 나만의 기준을 세우려고 노력하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내 마음속에 비교하는 마음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또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나 자신보다는 딸에 대한 비판과 비교 의식이 매우 심하다는 것을 깨닫고 반성하였습니다. 딸에 대한 불만족이 비교하는 말로 딸을 콕콕 찌르고 있는 자신을 보았습니다. 내가 무엇보다도 비교 의식과 열등 의식으로 상처받은 인생을 살았는데, 내가 고스란히 딸에게 그렇게 하고 있었습니다.

비교 의식과 열등감으로 병들었던 엄마가 또 딸에게 같은 병을 전이시키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번에 미국에 살던 아들들이 프랑스와 미국의 차이점을 한 가지 말했습니다. 프랑스 사람들은 역시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쓰고, 옷을 멋있게 입는다고 합니다. 미국 사람들은 대신 다른 사람들의 외모를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츄리닝을 입던, 쫄바지를 입던, 멋지게 입던 자기 개성대로 먹고 입고 산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때론 싫을 때도 있지만 남을 의식하지 않으니 자유롭고 편하다고 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만의 행복의 기준이 있는 사람들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 자신에게뿐만 아니라, 딸아이에게도 나의 기준이 있어야 함을 깊이 깨닫고 반성하는 마음입니다. 딸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엄마로서 자녀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딸을 바라봐야겠습니다. 부모의 잣대로, 부모의 높은 기대감으로 자녀를 평가하고 끌어올리려는 욕심과 판단의 마음을 내려놓아야겠습니다. 뿌리 깊은 비교 의식이 쉽게 사라지지 않겠지만, 꾸준하게 독서하고 독서의 힘으로 내 마음과 생각을 의도적으로 바꾸려는 훈련을 통해 올바른 상식을 가진 성숙한 엄마로 변화되고 성장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