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저는 꽃보다 마흔 님과 함께하는 매일매일 글쓰기에서 활동하고 있는 쨍하고 해뜬날입니다.
저의 꿈은' 내 인생에서 1권의 책'을 출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래전부터 결심했습니다.
1년에 최소한 50권의 책을 읽고 도서 후기를 쓰자!
그리고 반드시 책 1권을 출판하자'라고 목표를 세웠습니다.
저의 글쓰기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삶의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세상을 살아가는 다양한 삶의 모습들을 나의 시각으로 바라보며 생각하며 느끼며 배우는 일상적인 이야기를 여러분과 공유하려고 합니다.
작가의 시선으로 겨울과 크리스마스트리를 바라본다. 처음 이 글을 읽을 때는 ‘겨울을 싫어한다고? 왜? 겨울이 얼마나 아름다운데! 하얀 눈송이에, 아궁이 속에서 따뜻하게 데워진 구들장처럼 내 몸을 포근하게 감싸주는 털북숭이 옷으로 멋을 낼 수 있는 겨울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사계절이 모여서 ‘누가 가장 아름답지?’라며 내기를 한다면, 적어도 2등은 할 것 같은—나에게 있어 겨울은 그러하다—화려한 장신구들로 장식된 겨울을 사랑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고? 처음에는 이런 생각이 조금 의아하게 다가왔다. 그러나 한 줄 한 줄 작가의 마음을 생각하며 산문을 정성 들여 읽으니, ‘충분히 그럴 수도 있겠구나!’ 하는 이해심이 나의 편향된 시각을 깨뜨려 주었다.
나는 패딩 점퍼나 벨벳같이 부드러운 감촉의 두꺼운 옷, 까슬까슬한 털실로 짠 장갑이나 목도리로 나를 치장하는 것을 몹시 좋아한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런 옷들이 거추장스럽게 느낄 수도 있지 않을까? 하얀 눈이 펑펑 내리는 날, 마당에서 빙글빙글 춤을 추는 강아지처럼 기분이 좋아 마구 돌아다니는 나 같은 사람도 있지만, 눈이 쌓여 더러워진 흙눈을 치워야 하는 아르바이트생의 한숨 섞인 눈 오는 날도 있지 않겠는가! 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배우는 점은, 상대방의 생각이나 그들이 느끼고 바라보는 시각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힘이 길러진다는 것이다. 물론 세월이 흘러가면서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수천 가지 다양한 정보와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의 사고의 폭이 넓어진 것일 수도 있겠지만, 나는 감히 독서와 글쓰기를 통한 자기 통찰의 훈련이라고 말하고 싶다.
안희연 작가는 크리스마스트리를 ‘수혈이 필요하다고 어지럽다고 피 주머니를 매단 채 간신히 버티고 있는 나무’로 묘사했다. 예전 같으면 ‘왜 이렇게 어두운 시선으로 트리를 보는 걸까? 크리스마스 트리에 달린 빨간 전구들을 어찌하여 ‘피’로 표현하는 걸까? ‘어머, 귀여워라. 어머, 너무 예쁘다, 어쩜 이렇게 깜찍하고 귀엽지!’라는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선물 바구니와 커다란 양말을 ‘선물을 강요하는 폭군 같은 양말’로 묘사하는 걸까? 트리에 둘러싸인 작은 전구의 빛을 억지로 강요받는 불쌍한 성냥팔이 소녀 같은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걸까? 이런 시선들이 작가의 시선이라는 것인가! 조금은 비아냥거리며 ‘아주 히스테리한 사람이구먼’ 하고 단정 짓고 책을 덮고 싶었다. 나는 크리스마스 트리 자체를 그 자체로 좋아한다. 그것이 진짜 나무이든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나무이든, 트리에 수북한 가짜 하얀 눈으로 덮여 있든, 여기저기 조금씩 ‘나, 흰 눈이에요’라고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눈덩이가 붙어있든, 나는 그 나무 자체로 예쁘고 사랑스럽다. 아빠와 아들이 꽃집에 와서 서로 주거니 받거니 얘기하며 트리를 골라 자동차에 싣는 모습을 보기만 해도 나의 입꼬리는 어느새 올라가고 있다.
그리고 계획에 없던 짓을 서슴없이 한다. 나도 꽃집으로 들어간다. 우리 집은 그렇게 큰 트리를 놓을 공간이 없기에, 작은 트리를 하나 산다. 눈이 송이송이 여기저기 붙어 있으면 더 예쁘다. 그래서 조금 더 돈을 지불해서라도 기꺼이 가짜 하얀 눈이 붙어있는 트리를 과감히 고른다. 그리고 저녁에 집에 돌아오는 딸과 남편에게 전화한다. ‘집에 오면서 큰 쇼핑몰에 들러서 크리스마스 장식 용품들 사 와!’ 뜬금없는 엄마의 전화에 처음에는 ‘이게 뭔가?’ 하다가도, 엄마의 소녀스러운 감성을 잘 아는 딸아이는 더 이상 대꾸하지 않고 엄마가 좋아할 만한 크리스마스 장식품들을 한 아름 사서 온다. 남편은 딸이 산 것보다 조금 더 큰 것들을 사 와서 나를 한 번 더 행복하게 만든다. 그리고 밤새 함께 누가 누가 잘하나 내기하듯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고, 반짝반짝 빛나는 오색 전구로 거실 천장을 장식한다. 거실 바닥에 전기장판을 깔고 그 위에 겨울용 카펫을 덮는다. 그리고 보들보들한 이불을 가져와 셋이 이불을 덮고, 우리의 얄팍한 미적 감성으로 최선을 다해 꾸민 크리스마스 트리를 세상을 다 얻은 듯 행복하게 바라본다. 이때 간식이 있으면 더 좋다. 부엌에 들어가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것 같은 안주들을 찾아내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김치! 다시 한번 더, 김치!’를 외치며 핸드폰으로 사진을 연거푸 찍어댄다. 사진을 보며 이상하다느니, 예쁘다느니, 왜 이럴 때 사진을 찍어야 하느니 하며 또 한바탕 웃음바다가 된다.
반면, 나는 실내든 실외든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편은 아니다. 스키나 보드를 탄 기억이 거의 없다. 눈썰매장에 두세 번 간 것이 전부일 것이다. 그것도 아이들이 타는 물놀이 보드 같은 스케이트를 탄 기억일 뿐이다. 겨울 눈을 바라보고 눈으로 덮인 설경을 보는 것을 좋아하고, 가끔 동계올림픽 같은 겨울 스포츠를 생중계로 보는 것이 전부일 듯하다. 겨울 스포츠에 대한 호불호 면에서는 이 글의 작가와 다소 공통점을 발견한 것 같아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
겨울은 저마다의 추억과 이야기를 품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낭만적인 휴일의 상징일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고독과 추위로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겨울을 좋아하는 이유도, 싫어하는 이유도 제각기입니다. 이 글을 통해 나는 다시금 깨닫습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감정과 시각이 다르다는 것을,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입니다. 겨울 트리에 대한 우리 가족의 추억도 반짝이던 조명처럼 오래오래 빛날 것이다.
오늘도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